한국 여성의 직업에 따른 성차별
한국 여성의 삶과 지위
최근 여성의 지위에 관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특히, 정부가 ‘구조적 성차별은 없다’라고 입장을 밝히면서 갈등이 커졌습니다. 그러나 뒤에서 언급하겠지만 여성 차별은 사라지지 않을 것 같습니다. 여전히 사회 곳곳에 뿌리박혀 잔재들이 남아 있습니다. 물론 여성들의 삶은 수십 년간 많이 변화가 있었지만 오늘날 여성의 삶과 위치는 어떤 모습일까요? 그리고 그 정치적 함의는 무엇일까요? 지금부터 한국 여성 삶의 변화와 모순을 전반적으로 살펴보면서 논란의 핵심이 무엇인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여성 삶의 변화부터 살펴봅시다. 오늘날 여성은 과거의 그 어느 때보다 많이 집 밖에서 자신의 일을 하고 있습니다. 한국여성단체협회와 통계청이 임금노동자 수를 확인하기 시작한 1963년 당시 여성 임금노동자 수는 약 57만 명으로, 전체 근로자의 24퍼센트에 머물렀습니다. 그러나 약 60년이 지난 현재 여성 근로자 수는 931만 명으로, 무려 16배 이상 향상되었습니다. 1992년을 기준으로 하면, 30년 만에 여성노동 인력 수는 2배 넘게 증가한 것입니다.
한국 여성의 근로 환경 변화
전체 근로 인력 중 여성의 비중은 44.8퍼센트로, 전체 노동 인력의 절반에 육박하고 있습니다. 그동안 경제 불황은 여성 취업에 악영향을 주긴 했으나, 여성 취업과 여자알바의 상승 추세 자체를 꺾지는 못했습니다. ‘경제 위기 때 여성이 손쉽게 노동시장에서 퇴출된다’고 주장하는 입장도 많지만, 현실은 그렇게 간단하지 않음을 보여 주고있습니다. 내 어머니 시대에는 여성이 결혼하고 출산하면 직장을 그만두고 전업주부가 되는 일이 흔했지만, 이제 더는 그렇지 않습니다.
여성 의사의 비율도 1980년 13.6퍼센트에서 2019년 26.1퍼센트로 두 배로 향상하고 있는 추세입니다. 여성의 교육 기간과 노동시장 크게 늘어나면서 지난 수십 년간 가족의 모습도 크게 달라졌습니다. 취업률 경우도 남성과 여성의 합격률이 상당량 줄어들고 있습니다. 사람들은 점점 더 적게, 더 늦게 결혼하고 있는 추세롤 보여지고 있습니다. 초혼 건수는 30년 전의 절반 미만으로 떨어졌습니다. 1970년에 미혼 여성은 평균 23살에 결혼했지만, 이제 그 연령은 30살로 올라갔습니다.
한국 여성들의 인식 변화
이혼이 크게 늘어나면서, 이혼을 꺼리던 사회 분위기도 많이 바뀌었습니다. 1인 가구도 40년 전에는 4.8퍼센트에 불과했지만, 이제 32퍼센트나 되고 있습니다. 여성들은 아이를 점점 더 늦게, 더 적게 출산 있습니다. 1970년 합계출산율(여성 1명이 평생 낳을 것으로 예상되는 평균 출생아 수)은 4.53명이었지만 2021년에는 0.81명밖에 안 되고 있습니다. 20대부터 아이를 줄줄이 낳고 키우느라 평생을 보낸 이전 세대 여성들의 삶과는 많이 달라진 것입니다.
오늘날 여성의 지위 변화
이와 같은 변화들은 분명 여성에게 진보적인 영향을 주었습니다. 그렇다면 여성 차별은 예전 풍습이 되었을까요?? 이런 주장은 주로 편협된 무리의 인식에서 퍼뜨리지만, 평범한 청년층 남성의 일부도 아직은 이렇게 주장하는 듯합니다. 자신들은 여성 차별을 많이 경험하지 않고 자랐다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20대 여성 근로 시장의 성별 격차는 다른 세대보다 낮게 나타나고 있습니다. 법적 차별도 대부분 사라지고 있으며 여성에 대한 존중도 예전에 비해 상당량 많이 높은 평가를 보이고 있습니다.